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평창산들식품은 해썹인증업소이며, 사회적 기업으로 친환경 ESG 까지 앞서 나간다
1, 평창산들식품 소개
주소 평창군 평창읍 건강마을길 17 대표 채충자
업태는 제조업이며 업종은 떡류, 국수 면류 제조이다
법인유형은 주식회사 이며, 사회적기업 유형은 일자리제공형이다
사회적기업 인증일은 2021-05-11
사회서비스분야 기타 사업내용 떡류, 국수 면류 제조
2. 평창산들식품의 유명 제품들
친환경이며 HACCP 인증받은 업소에서 생산하는 제품들은 다음과 같다
[평창] 채충자 수리취 찹쌀 시루떡 4팩(450g×4팩) 1.8kg
[평창] 채충자 수리취 찹쌀 시루떡 450g
[평창] 국산 메밀 37% 채충자 수제 메밀국수 보리새싹 부추 오디 국수 800g 소면
[평창] 채충자 감자떡 흑미감자떡 1.3kg
채충자 감자떡 흑미감자떡 1.3kg 1팩
국산 메밀 37% 채충자 수제 메밀국수 800g 소면
30년전통 채충자 수리취 찹쌀 시루떡 450g
30년전통 채충자 수리취 찹쌀 시루떡 450gX4팩 등이 있다
3, 평창산들식품의 모든 제품들은 까다로운 국가/식약처/인증원 해썹인증제품들이다
인증식품 유형은 국수(건면), 떡류이다
해썹인증제도는 식품 및 축산물의 원료관리 및 제조·가공·조리·유통의 모든 과정에서 위해한 물질이 식품 및 축산물에 섞이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과정의 위생적 위해 요소를 확인·평가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과학적인 선진식품 관리제도.
위해요소분석(Hazard Analysis)과 중요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을 합친 영문 약자로서 해썹[1] 또는 안전관리인증기준이라 한다.
우리나라는 HACCP 제도를 대한민국 정부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시행, 식약처 산하의 공공기관인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식품제조가공업, 축산물가공업, 건강기능식품제조업 등의 일반적인 식품제조회사와 단체급식소[2], 식품판매업 등에 대해 적용하고 있으며, 식약처의 산하기관인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에서 인증심사와 연장심사를, 각 지방청은 사후관리를 주관하고 있다 해썹 인증을 받은 업소는 자기들이 생산한 제품의 포장에 해썹 마크를 새길 수 있다.
4,평창산들식품은 사회적기업이다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동시에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운영하는 기업. 일반적인 영리 기업은 말 그대로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에 비해 사회적 기업은 반쯤은 영리를 추구하고 반쯤은 사회 문제를 해결을 위한 노력과 공동체적 가치 실현을 추구하는 기업이다.
사회적기업 육성법에서는 그 목적에 따라 사회적기업을 분류하고 있는데, 크게 아래의 5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회적기업 유형별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일자리 제공형: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
사회서비스 제공형: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지역사회 공헌형: 조직의 주된 목적이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것
혼합형: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과 사회서비스 제공이 혼합
기타형: 사회적 목적의 실현여부를 계량화하여 판단하기 곤란한 경우
5. 평창산들식품은 ESG경영으로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을 하고 있다
자원순환 시스템이란?
자원순환 시스템이란 자원의 생산, 소비, 폐기, 재활용 과정을 최적화하여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고, 자원을 재활용하는 시스템이다.
자원순환 시스템의 대표 유형
✔ 폐기물 제로(Zero Waste) –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재사용/재활용
✔ 자원 효율성(Resource Efficiency) –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 효과 창출
✔ 순환 경제(Circular Economy) – 제품의 생애 주기 전체를 고려한 순환 구조
✔ 폐자원 에너지화(Waste-to-Energy) – 폐기물에서 에너지를 회수하여 활용
자원순환 시스템을 구축한 기업 사례
CJ제일제당은 친환경 포장재 개발을 통해 자원순환에 기여하고 있다.
이 회사는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재를 개발하고, 생분해성 소재를 활용한 포장재로 교체하는 등 자원순환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기물 발생 최소화를 위해 생산 공정에서 남는 식품 부산물을 사료나 비료로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순환 경제(Circular Economy) 개념을 도입해 자원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친환경 제품 설계(Eco-design)와 재활용 프로그램을 통해 자원순환을 실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