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7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7℃
  • 구름많음강릉 16.4℃
  • 구름많음서울 19.0℃
  • 구름많음대전 21.1℃
  • 구름많음대구 17.7℃
  • 구름많음울산 19.0℃
  • 구름많음광주 18.5℃
  • 흐림부산 17.1℃
  • 구름많음고창 16.6℃
  • 흐림제주 19.4℃
  • 맑음강화 14.7℃
  • 구름많음보은 20.7℃
  • 구름많음금산 21.1℃
  • 구름많음강진군 18.7℃
  • 구름많음경주시 17.0℃
  • 구름많음거제 16.9℃
기상청 제공

30대 출세에 대하여, 조용헌 건국대 석좌교수·문화컨텐츠학

그렇습니다. 그러나 요즈음은 빨리 죽으려고 아둥바둥합니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오피니언
전문가칼럼
[조용헌 살롱] [1399] 30대 출세에 대하여
조용헌 건국대 석좌교수·문화컨텐츠학

사회 시스템이 정비되고 선진국이 되어갈수록 젊은 세대는 출세하기 어렵다. 전쟁이 나거나 난세가 되었을 때 2030세대가 득세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긴다. 선진국에서 젊은 2030이 출세할 수 있는 길은 3종류뿐이다. 연예인, 운동선수, 그리고 정치인이 되는 길이다.

1. 가장 큰 시련은 젊어서부터 ‘조실부모 인생파탄’이다. 공자, 예수, 마호메트, 최수운이 그랬다. 아주 큰 인물은 일찍부터 인생파탄 나서 스펙이 좋지 않았다. 

2. 중간치기 인물은 가방끈이 긴 법이다. 명리학을 연구해보니까 전반전이 좋으면 후반전은 좋지 않다. 소년등과(少年登科) 하면 부득호사(不得好死) 한다. 정조 때 정권 실세로 끝발 날리다가 33세에 죽은 홍국영이 대표적이다. 

3. 반대로 선곤후태(先困後泰·전반부에 곤란했다 후반부에 좋아진다)도 있다. 김남국의 코인게이트는 독자들에게 인생의 교훈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