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어떻게 더 잘 살 수 있을지만을 이야기해온 내게
죽음을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준 책.”
- 『자존감 수업』 저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윤홍균
삶과 죽음의 밭은 경계선에서
마지막까지 나 자신으로 살아 있는
‘웰다잉’을 이야기하다
말기 암, 파킨슨병 명의 박광우 교수가 전하는
더 나은 삶을 위한 오늘의 죽음 상상
삶의 한끝에는 죽음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죽음’이 없는 듯이 산다. 죽음은 어둡고, 슬프고, 아프고, 우울한 것, 죽음을 이야기하는 것은 금기가 된다. 하지만 우연의 삶 끝, 필연의 죽음을 사유하지 않는다면, 피할 수 없는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신경외과,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인 저자 박광우 교수는 20여 년간 현장에서 의사로서,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 삶과 죽음의 ‘경계의 시간’을 관찰했다. 사람들은 모두가 다르게 이 시간을 대했다. 허둥대거나 두려워하거나, 혹은 담담하고 의연하게 생의 남은 시간을 살아나갔다. 환자와 보호자, 죽음을 먼저 대면한 이들을 도우며, 저자는 그 스스로도 죽음의 관점에서 다시 정렬되는 삶의 시간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후회 없는 하루를 살고, 그리하여 후회 없는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죽음의 다양한 장면들에 대해 써 내려갔다.
“죽음은 우리가 모든 것을 다 해결한 뒤에 편안하게 찾아오는 것이 아니다. 세상에는 한 일과 안 한 일이 있을 뿐, ‘하려고 한 일’은 없다. 한 사람의 죽음 뒤에 오는 산 사람들의 ‘하려 했던 일’에 대한 후회는 영원히 바로잡을 수 없다. 다양한 죽음의 장면을 그 누구보다 가까이서 지켜봐왔던 나는 좋은 죽음이 무엇인지 늘 고민한다. 그래서 나는 죽음 후에 다가올 것들을 잊은 이들에게, 그들이 ‘하려고 한 일’들을 할 수 있도록 말을 건넨다.” -21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