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다. 기후변화 국제 대응
1).글로벌 ESG 관련 주요 이벤트
기후변화에 대한 그동안의 국제적인 논의의 흐름을 알아 본다
(1972) 스톡홀름회의 기후변화 논의
(1978) 미국, 정부윤리법 제정
(1987) UNEP·WCED,브룬트란트 보고서 발간: ESG의 개념을 포함하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1987년 UNEP(유엔환경계획)와 WCED(세계환경개발위원회)가 공동으로 채택한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일명 브룬트란트 보고서) 에서 제시되었다. 보고서에서는 인 류가 빈곤과 인구증가,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환경 파괴등의 위기에 서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속가능발전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 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1989) 미국 알래스카에서 엑슨 발데즈호의 원유 유출사고 발생을 계기로 미 환경단체(Ceres)가 기업의 환경, 사회영향을 파악,공개,관리,개선하여야 한다는 원칙 발표
(1992) UNEP 리우선언 채택: ESG 환경 영역의 기반인 기후변화 협약, 생물다양성 협약,사막화방지협약
(1997) 교토의정서
(1999) 미국, 부패방지라운드 등 윤리 관련 법률 활성화
(2000) UN Global Compact는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4대 분야 10대원칙 발표
(2000) Global Reporting Initiave는 지속가능성보고를 위한 글로벌 프레임워크 GRI 가이드라인 발표
(2003) (EU) 2003년 회계현대화지침(EU Account Modernization Directive 2003/51/EC)에서 연차보고서 상 비재무적 요소(ESG)의 공시를 권고하며, 이후 정보공개 지침*에 따라 2018년 의무화 함
(2004) 일본, 온실가스/에너지(‘04, ‘06), 유해물질(‘11), 환경보고(’12) 추진
(2006) UN PRI(책임투자원칙)발표:ESG를 투자 결정과 자산 운용에 고려한다는 원칙 발표. ‘06년 UN PRI의 지속가능성장 관련 6대 원칙이 발표된 이후 세계 주요국들은 ESG 정보 공개에 대한 의무화, 공급망 실사 등 ESG 관련 규율 강화 추세
(2008) 중국, 국영기업 보고서 발간 권고,
(2009) 기업 CSR 보고지침 개발
(2010)
o ISO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실행 지침 및 권고사항을 ISO 26000으로 정함
o 분쟁광물 규제(도드-프랭크법)
(2012) California Transparency in Supply Chains Act(‘12)
(2014) EU 집행위원회 비재무 정보공개 지침(Directive 2014/95/EU) 제정
(2015)
o 파리기후변화협약. 2016년부터 포괄적 국제법 효력 발생
o Business Supply Chain Transparency on Trafficking and Slavery Act
(2016)
o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기업의 지속가능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국제기구) 표준 발표,기업 및 기관의 지속가능성평가 지표 설정.
o (영국) 연차보고서 내 ESG 정보공개 의무화(Company Act, 2016)
(2017)
o TCFD: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TF, 세계 금융시장 모니터링 국제기구인 금융안전위원회 설립 협의체, 기후변화와 관련된 리 스크와 기회요인을 분석하고, 거버넌스,전략,리스크 관리, 지표와 목표의 4가지 측면에서 재무정보 공개 권고안 제시
o (프랑스, 독일) 일정규모 이상 사업장 보유 기업 ESG 정보공개 의무화(Code de commerce L&R, 2017, CSR Directive Implementation Act law, 2017
(2018)
o (한국) 2030년까지 단계별 ESG 정보공시 의무화 추진(상장기업)*하고 있으며, ESG 관련 규제 법안 등 추진: 대형 상장사 기업 지배구조 핵심정보 의무공개(‘18) →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공시 활성화 단계적 의무화 추진(‘20) → 거래소 자율공시(‘21) → 일정규모 이상(자산 규모 2조원 이상) 기업 ESG 정보공시 의무화(‘25) → 전 코스피 상장사 ESG 정보공시 의무화(‘30)
o 탄소중립(‘20), 인권기본법(‘21), 공공조달(‘22) 등 관련 법안 추진 중
(2019) BRT(Business Roundtable): 애플, 아마존, 월마트, 블랙록 같은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기업들 CEO가 참여하는 연례회의. 2019 년 연례회의에서 기존의 전통적 기업의 목적인 주주이익 극대화의 원칙을 폐지하고 모든 이해관계자의 가치가 통합된 새로운 기업의 목(Purpose of a Corporation)을 선언함:
① 우리의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한다.
② 우리의 직원에게 투자한다.
③ 협력사를 공정하게 윤리적으로 대한다.
④ 우리가 속한 지역사회를 지원한다.
⑤ 주주를 위한 장기적 가치를 창출한다
(2020) 세계 경제 포럼, 지속가능성 의제 논의, 지속가능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백서 발간
(2021)
o (EU) 산업 공급망 대상 인권 환경 실사 의무화 추진,
o (독일) 공급망 실사에 관한 법안 도입 발표
o 한국의 증권거래소(KRX)는 ESG 정보공개 가이던스를 배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