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Ⅱ. 환경편
1. 전문
가. 환경경영의 의의 및 필요성,
나. 환경경영의 목적
다. ESG 경영 관련 법규, 국제기준 및 이해관계자 요구사항:
국내 법규,
국제 기준,
이해관계자 요구 사항,
라. 적용범위
2.용어의 정의: 환경 용어
3.환경경영 리더십과 거버넌스
가. 환경경영 리더십
1) 최고경영진의 환경경영 의지 표명과 리더십 발휘:
최고경영진의 환경경영 의지 표명,
최고경영진의 리더십
2) 환경방침:
환경방침 수립의 의의,
환경방침의 문서화,
환경방침의 내용 및 요건,
환경방침의 이행
나. 환경경영 전략 및 목표
1) 환경경영 추진 전략 수립: 환경경영 전략 수립,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려, 환경경영과 경영전략과의 일관성
2) 환경목표 수립 및 세부 추진 계획 수립, 관리: 환경경영 목표 수립, 환경목표 관리체계, 세부 추진 계획 수립
환경경영 목표
환경경영 목표 수립, 환경경영 추진체계
원부자재
원부자재 사용량, 재생 원부자재 비율
온실가스
온실가스 배출량 (S1 & S2), 온실가스 배출량 (S3),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에너지
에너지 사용량, 에너지 효율,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
용수
용수 사용량, 재사용 용수 비율
폐기물
폐기물 배출량, 폐기물 재활용 비율
오염물질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환경 라벨링
친환경 인증 제품 및 서비스 비율
기후변화 대응
산림탄소흡수량
환경법규제
환경 법/규제 위반
다. 환경경영 거버넌스
1) 의사결정 체계 구축, 실행 및 유지: 전사적 환경경영체계 구축, 운영 효율성 제고
2) 이사회: 이사회의 역할
3) 인적자원 배분, 환경경영 전담 실무조직 구축 운영:
환경경영 추진조직 구축,
전담 실무 조직 구성 및 운영
4) 환경 인식 수준:
환경경영 기업문화 조성의 필요성, 환경경영 교육, 환경경영 목표 및 계획 공유, 임직원 참여 유도
4. 위험관리
가. 환경 위험과 기회의 식별, 평가 및 관리
1) 환경 위험 및 기회 파악: 위험과 기회 식별의 필요성, 프로세스 구축, 환경영향 규명
2) 환경 위험 및 기회 우선순위 선정: 위험과 기회 우선순위 도출:
3) 환경 위험 및 기회 활용 및 관리: 위험 및 기회 관리체계, 친환경 자금 조달
나. 환경위험 관리체계
1) 사전관리시스템 구축, 실행: 사전관리시스템 구축 필요성, 위험예방 전략 수립 및 추진, 환경위험 대응
2) 비상사태 및 사고대응 절차수립: 단계별 대응절차 수립, 유형별・단계별시나리오 수립
3) 환경법규 위반 및 환경사고 관리체계 구축: 사후 조치 즉각 이행, 환경책임보험
5. 운영 및 성과
가.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1) 친환경 설계: 친환경 설계 의, 친환경 설계를 통한 순환경제 구현
2)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공급: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정의, 친환경 인증
나. 친환경 공급망
1) 친환경 공급망관리체계 구축: 친환경 공급망 관리의 의의
2) 협력업체와의 상생경영: 협력업체 환경경영의 필요성, 협력사 평가 및 평가결과 활용, 협력사 지원
3) 친환경 제품 유통: 친환경 소비문화 기반 조성, 신(新)경제체제와의 연계
4) 친환경 구매 활동: 친환경 구매의 의의, 친환경 구매 지침
다. 친환경 사업장
1) 친환경 사업장 구현: 친환경 생산의 필요성, 친환경 사업장 구현
2) 기후변화 대응 활동: 온실가스 정의, 온실가스 배출 구분, 온실가스 관리 시스템 구축, 에너지 이용 및 관리,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이용, 온실가스 감축 수단 활용
3) 자연자원 이용 효율성 극대화: ・부자재 및 용수 사용 절감, 자원순환형(Closed-loop System) 사업장 구축, 원・부자재 및 용수 재활 용 설비 도입
4) 환경오염물질 발생 및 배출 최소화: 환경오염물질의 관리
5) 폐기물 및 폐수 관리: 폐기물 및 폐수 적법 처리
6) 화학물질 관리: 화학물질 인벤토리 구축, 화학물질 규제 위험, 유해화학 물질 정의 및 관리 필요성, 유해화학물질 이용 및 배출 저 감,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 화학물질 사고에 대한 피해보상
라. 성과관리
1) 환경성과 관리: 환경성과 모니터링 및 측정
2) 환경성과평가시스템: 환경성과평가의 의의, 환경성과평가 고려사항
3) 내부환경심사: 내부환경심사의 의의, 내부환경심사 요건
4) 환경성과평가 및 내부환경심사 결과의 의사결정자에게 보고: 환경 성과평가 및 내부환경심사의 활용, 환경성과평가 및 내부심사 보고, 사후개선 및 사전예방 조치, 내부성과평가시스템과 연계
마. 환경회계
1) 환경 원가 및 편익 측정과 활용: 환경회계의 정의 및 필요성, 환경 회계 운영 및 활용
2) 탄소 위험 측정 및 관리: 탄소가격 의미, 내부탄소가격 도입
바. 생태계 보전
1) 생태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보전하기 위한 활동: 자연자원관리, 생물다양성보전, 산림생태계 보전, 해양생태계 보전
6.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및 정보공시
가.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이해관계자 설정과 식별, 이해관계자 의사소통, 이해관계자 이니셔티브 참여
나. 정보공시
1) 정보공시 형식: 정보공시 방식. 정보공시 주기, 정보공시 범위
2) 정보공시내용: 핵심이슈 및 KPI
3) 정보공시 검증: 정보공시 검증
7. 부록
가. 법규:
➀ 대기환경보전법, ➁물환경보전법, ➂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➃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➄에너지이용합리화법, ➅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➆폐기물관리법, ➇화학물질관리법, ➈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나. 국제기준 이 ESG 경영매뉴얼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ESG 모범규준, 산업통상자원부 K-ESG 가이드라인, 맬콤볼드리지 MB 모델 워크북, ISO 경영시스템을 바탕으로 하여 (생산관리전공)경영학박사/ISO선임심사원 유영준박사의 오랜 컨설팅 활동의 결과물임. 유영준의 경영학박사학위 논문은 “경영방침 관리 시스템에 관한 실증적 연구”(1993)임
➀BNBP(Biz N Biodiversity Platform, 기업과 생물다양성 플랫폼), ➁CDP(Carbon Disclosure Project) Climate Change, ➂Water, Forest, Supply Chain, Cities, Carbon Action, ➃EV100(Electric Vehicle 100%), ➄Getting to Zero 2030 Coalition(탄소배출제로연대), ➅NPEGC(New Plastics Economy Global Commitment, 새로운 플라스틱경제 글로벌공약), ➆RC(Responsible Care), ➇RE100(Renewable Energy 100%), ➈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과학기반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니셔티브), ➉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⑪Disclosures, 기후변화 재무정보 전담협의체), ⑫UNEP FI(유엔 환경 계획 금융이니셔티브), ⑬고농도 계절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
다. 인증제도
➀ISO 13065 바이오에너지, ➁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➂ISO FDIS 14030-1 녹색채권 등, ➃ISO 14044 환경전과 평가, ➄ISO 14046 물발자국, ➅ISO 14063 환경경영의사소통, ➆ISO 14064-1 온실가스 산정, ➇ISO 14067 탄소발자국, ➈ISO 21070 해양-선상쓰레기, ➉ISO CD 24161 폐기물수집수송, ⑪ISO 46001 물효율관리, ⑫ISO 50001 에너지경영시스템, ⑬ISO 52000-1 건물에너지 성능, ⑭ ISO WD 59004 순환경제 프레임워크, ⑮IEC 62430 친환경설계, ⑯ ISO 전기전 유해물질, ⑰ISO 희토류재활용
라. 관련 규정
➀산업안전관리규정, ➁신재생에너지관리규정, ➂에너지관리규정, ➃오염물질관리규정, ➄온실가스관리규정, ➅용수관리규정, ➆폐기물관리규정, ➇화학물질관리규정, ➈환경경영규정, ➉환경법규관리규정, ⑪환경회계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