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7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7℃
  • 구름많음강릉 16.4℃
  • 구름많음서울 19.0℃
  • 구름많음대전 21.1℃
  • 구름많음대구 17.7℃
  • 구름많음울산 19.0℃
  • 구름많음광주 18.5℃
  • 흐림부산 17.1℃
  • 구름많음고창 16.6℃
  • 흐림제주 19.4℃
  • 맑음강화 14.7℃
  • 구름많음보은 20.7℃
  • 구름많음금산 21.1℃
  • 구름많음강진군 18.7℃
  • 구름많음경주시 17.0℃
  • 구름많음거제 16.9℃
기상청 제공

유영준 저 ESG 경영핸드북 ESG 경영매뉴얼의 지배구조 목차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Ⅳ. 지배구조편


1. 전문
 가. 지배구조 경영의 의의와 필요성, 나. 지배구조 경영의 목적
 다. 지배구조 경영 관련 법규,국제기준 및 이해관계자 요구사항: 국내 법규, 국제 기준, 이해관계자 요구사항
 라. 지배구조 경영 적용 범위
2. 용어의정의: 지배구조 용어
3. 지배구조 경영 리더십과 거버넌스
 가. 지배구조 경영 리더십
  1) 최고경영진의 지배구조 경영 의지 표명과 리더십 발휘: 최고경영진의 지배구조 경영의지 표명, 최고경영진의 지배구조 경영 리더십
  2) 지배구조 경영 방침: 지배구조 경영 방침 수립의 의의, 지배구조 경영 방침의 문서화 지배구조 경영 방침의 내용 및 요건, 지배구조 경      영 방침의 이행
 나. 지배구조 경영 전략 및 목표
  1) 지배구조 경영 추진 전략 수립: 지배구조 경영 전략 수립, 지배구조에 대한 고려, 지배구조 경영과 경영전략과의 일관성
  2) 지배구조 경영 목표 수립 및 세부 추진 계획 수립, 관리; 지배구조 경영 목표 수립, 지배구조 경영 목표 관리체계

목표
목표 수립 및 공시 
이사회 구성
이사회 내 ESG 안건 상정, 사외이사 비율, 대표이사 이사회 의장 분리, 이사회 성별 다양성, 사외이사 전문성
이사회 활동
전체 이사 출석률, 사내이사 출석률, 이사회 산하위원회,이사회 안건 처리
주주권리
주주총회 소집공고,주주총회 개최일,집중/전자/서면투표제,배당정책 및 이행
윤리경영
윤리규범 위반사항 공시,윤리경영/반부패 관련 법규/행동강령 등 준수
감사기구
부감사부서 설치, 감사기구 전문성(감사기구 내 회계/재무 전문가)
경영진
경영진 성과평가 및 보상
지배구조법/규제 
지배구조 법/규제 위반

  
 다. 지배구조 경영 거버넌스  
  1) 지배구조 경영 의사결정 체계 구축, 실행 및 유지: 전사적 지배구조경영 체계 구축, 지배구조 경영 운영 효율성 제고, 지배구조 경영       세부 추진 계획 수립
  2) 이사회: 이사회의 역할
  3) 지배구조 경영 인적자원 배분, 전담 실무조직 구축 운영: 지배구조경영 추진조직구축, 지배구조 경영 전담 실무조직 구성 및 운영
  4) 지배구조 경영 인식 수준: 지배구조 경영 기업문화 조성의 필요성,지배구조 경영 교육, 지배구조 경영 목표 및 계획 공유, 임직원 참      여 유도
4. 지배구조 위험관리
 가. 사회적 책임 위험의 통합적 관리
  1) 재무 위험과 사회적 책임 위험을 함께 고려한 경영판단: 이사회의 역할
  2) 사회적 책임 위험도 충실히 관리되고 있는지 감독: 이사회의 감독 의무 
  3) 전사적 위험관리체계 통합 관리: 전사적 위험관리체계로의 통합
 나. 사회적 책임 위험과 기회의 인식
  1)  사회적 책임 이슈 식별, 위험과 기회 요인 파악
  2)  사회적 책임 위험요인과 기회요인의 전략 반영: 위험 요인, 기회요인,
 다. 지배구조 위험관리체계
  1) 지배구조 사전관리시스템 구축, 실행: 지배구조 사전관리시스템 구축 필요성, 지배구조 위험 예방 전략 수립 및 추진, 지배구조 위험      대응
  2) 지배구조 비상사태 및 사고 대응 절차 수립: 단계별 대응 절차 수립, 유형별・단계별 시나리오 수립
5. 운영 및 성과.
 가. 이사회 리더십: 이사회의 역할과 책임, 이사의 역할과 책임, 이사회 의 구성, 사외이 사, 이사회의 운영, 이사회 내 위원회
 나. 주주권: 주주의 권리, 주주총회, 
 다. 감사: 내부감사, 외부감사
 라. 주주 및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주주 및 이해관계자와의 직접 소통,정보 공개
6.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및 정보공시
 가.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이해관계자 설정과 식별, 이해관계자 의사소통, 이해관계자 이니셔티브 참여
 나. 정보공시:
   1) 정보공시 형식: 정보공시 방식, 정보공시 주기, 정보공시 범위
   2) 정보공시내용: 핵심이슈 및 KPI
   3) 정보공시 검증: 정보공시 검증
7. 부록
 가. 법규
  ➀금융위원회, 2014, “금융회사 지배구조 모범규준”, ➁상법, ➂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➃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➄한국기업지배구조원, 2015,“감사위원회 모범규준”, ➅한국기업지배구조원, 2016,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 ➆한국기업지배구조원, 2007,“이사회평가 가이드라인”
 나. 국제기준
  ➀COSO, 2018, “Enterprise Risk Management”, ➁FRC, 2018, “Guidance onBoard Effectiveness, ➂ICGN, 2017, “Global governance principles”
 다. 규정
➀윤리규정규정, ➁이사회규정, ➂주주관리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