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가 제도가 중소기업, 소상공인 다 죽이고 일자리를 없앤다. 먹고 살려고 하는 일 마다, 각종 인증, 허가, 등록, 신고해야 한다. 정말 죽을 노릇이다. 영업허가, 영업등록, 영업신고, 안전, 환경, 보건, 품질, 에너지, 신기술/NeT, 신제품/NeP, 소프트웨어, 서비스/디자인, 단체인증, 조달청등록인증, 이노비즈, 벤처, SQ, KC, 해썹(HACCP), 우수건강기능식품(GMP), GAP, 친환경/유기, 할랄, 비건, 코셔, ISO, FSSC, IATF, 클린사업장, 사회적기업, 유망중소기업 등등 수많은 강제, 법정, 민간, 임의 인증제도 들을 없애거나 최소화하고 선택은 기업이 하도록 하여야 한다. 거기다 원료수불부, 생산일지, 판매대장작성, 품목제조보고, 자가품질검사, 유효성평가실험, 건강진단, 위생교육, 실적보고, 자체평가, 영업자 준수사항 등등 쓸데없는 일 하다 세월 다 간다. 일만 열심히 하면 마음 놓고 사업할 수 있어야 한다.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건강하며 문화생활을 즐기며 행복하게 봉사하며 오래 살 수 있다. 정부/지자체가 규제/간섭하지 말아야 한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비건 식단으로 전환하면 수십억 달러를 절약할 수 있다. 새로운 비건 협회가 자금을 지원하고 보건국이 수행하는 분석 경제학은 NHS가 67억 파운드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국에서 식물성 식단을 100% 채택하고 있다. 이것은 1년 전체를 충당하기에 충분하다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국제공항협의회(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 ;ACI)의 '공중보건안전인증(Public Health&Safety Readiness Accreditation)'을 신규 취득했다고 30일 밝혔다. ACI의 공중보건안전인증(PHSR)은 공항의 지속가능한 방역능력 함양을 지원하기 위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운영됐던 공항방역인증(AHA) 제도를 전면 개편해 올해 신규 도입한 인증제도로, 인증 유효기간은 3년이다. 기존의 공항방역인증(AHA)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공항 운영자가 공항에 적용한 방역조치의 적절성을 위주로 평가하는 반면, 신규 프로그램인 공중보건안전인증(PHSR)은 향후 발생 가능한 신종 감염병에 대한 공항의 대비 수준 검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인천공항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지난 2020년 아·태 공항 중 최초로 ACI 공항방역인증을 취득한 후 3년 연속 재인증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방역수준을 인정받은 바 있으며, 이번 평가를 통해 미래에 급작스럽게 발생 가능한 방역 이벤트에 대한 준비 수준과 대응체계의 적절성도 인정받게 됐다. 이번 인증제도의 평가항목은 ▲공중보건 및 안전보장 조치 ▲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5.6 의사소통 5.6.1 외부 의사소통 a) 공급자 및 계약자, b) 특히, 제품 정보, 문의, 변경을 포함한 계약 또는 주문 취급 및 고객 불만을 포함하는 고객 피드백과 관련 있는 고객 또는 소비자, c) 법적 및 규제 당국, d) 식품 안전 경영 시스템의 효과성 또는 갱신에 영향을 미치거나 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될 기타 조직 5.6.2 내부 의사소통 a) 제품 및 신제품, b) 원재료, 조성 재료 및 서비스, c) 생산 시스템 및 장비 d) 생산 공간, 장비의 위치, 주변 환경, e) 청소 및 위생 프로그램 f) 포장, 보관 및 유통 시스템, g) 인원의 자격 인정 수준, 책임 및 권한의 할당 h) 법적 및 규제 요구 사항, i) 식품 안전 위해 요소 및 관리 수단에 관한 지식 j) 조직이 관찰하는 고객, 분야 및 기타 요구 사항, k) 외부 이해 관계자로부터의 관련 문의, l) 제품과 연관된 식품 안전 위해 요소를 지적하는 불만, m) 식품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조건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5. 경영 책임 5.1 경영 의지, 5.2 식품 안전 방침 a) 식품 사슬에서 조직의 역할에 적절함. b) 법적 및 규제 요구 사항과 상호 합의된 고객의 식품 안전 요구 사항 두 가지 모두와 일치함. c) 조직의 모든 계층에서 의사소통되고 실행되고 유지됨. d) 지속적인 적합성을 위해 검토됨 e) 의사소통이 적절하게 됨, f) 측정 가능한 목표에 의해 뒷받침됨 5.3 식품 안전 경영 시스템 기획, 5.4 책임 및 권한, 5.5 식품 안전 팀장,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ISO2200022000(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식품에 있어서의 품질과 위생은 동전의 앞면과 뒷면의 관계이다.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과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을 한 규격으로 만든 것이 식품관련 조직에서의 식품안전경영시스템 ISO 22000 이다 ♣ (식품) 품질 안전경영 시스템 * ISO 9001 : 품질 전반의 요구사항 * HACCP : 식품(위생)안전 위주의 요구사항 * ISO 22000 : ISO 9001과 HACCP를 통합한 경영시스템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주요 국제표준화기구 1.ISO(국제표준화기구) 설립: 1947년, 비정부기구(NGO)이다 역할: 지적, 과학, 기술, 경제 등 일반 분야의 국제표준 제정, 보급한다 회원: 163개국(2016년 기준, 연차보고서)이다 표준: 21,478종(2016년 기준, 연차보고서)이 있다 링크: http://www.iso.org 2.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설립: 1906년, 비정부기구(NGO)이다 역할: 전기전자 분야의 국제표준 제정, 보한다급 회원: 83개국(2016년 기준, 연차보고서)이다 표준: 7,148종(2016년 기준, 연차보고서)이 있다 출처: http://www.iec.ch 3.ITU(국제전기통신연합) 설립: 1865년, UN 산하 전문기구이다 역할: 유무선 통신, 전파, 방송, 위성주파수 등에 대한 기술기준 및 표준의 개발, 보급과 국제협력 수행한다 회원: 193개국(2017년 기준, 웹사이트)이다 표준: 약 4,000종(2017년 기준, 웹사이트)이 있다 링크: http://www.itu.int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ISO9001인증의 효과: ① 기업 이미지 제고로 매출증대 및 수출장벽 극복, ② 기업 내외부 신뢰성 증대, ③ 책임과 권한의 명확화, ④체계화된 사원 교육프로그램의 확보, ⑤ 중복업무, 누락업무의 선별 및 조정, ⑥개별고객으로부터의 중복심사 배제, ⑦ 제조물책임(PL)제도에 대한 최적의 대응책, ⑧ 예방활동의 극대화로 실패율 감소, ⑨KS 표시허가 공장심사의 일부 면제, ⑩ 단체 수의계약 물량 배정시 품질경영시스템 인증기업 우대, ⑪ 품질경영 100선 기업선정 심사 시 우대 등이 있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프로세스 접근 방법 프로세스 접근방법은 업무활동을 통해 고객 및 기타 이해관계자를 위한 가치 창출 방법을 체계화하고 관리하는 강력한 수단이다. 이는 프로세스 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리를 개선하게 한다. 조직의 성과는 프로세스 접근방법의 사용을 통하여 개선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네트워크를 만들고, 그들의 상호작용을 이해함으로서,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관된 운영을 보통 경영에 대한 “시스템 접근방법”이라고 한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는 국제표준화기구로 비정부 간 기구로서 설립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물자 및 서비스의 국제적 교환의 용이성 ② 지적, 과학적, 기술적 및 경제적 활동 분야에 있어서 국제간의 협력의 조장 ③ 세계적 규격의 심의 제정의 촉진. ISO9001 1987년 제정된 ISO9000 국제표준은 ‘경영’에 관련된 국제 표준이다. ‘품질시스템(quality system)'을 키워드로 하는 경영 관리 방법에 대한 국제표준은 처음이었다. 9001은 고객에게 제공되는 제품이나 서비스 실현 체계가 규정된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있음을 제3자 인증기관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인증해주는 제도이다 품질경영시스템 인증기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① 품질경영시스템(QMS)의 세계화 추세에 부응 : ② 국제환경변화에 능동적, 효율적 대비 : ③ 전략적인 육성지원 대상기업, 유망 중소기업 또는 해외 수출기업의 ISO 9001 인증 획득요구 : ④ 고객의 기대와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최적의 경영시스템 구축 :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공지사항,KS인증심사 수수료 한시적 감면 안내 KS인증심사 수수료 한시적 감면 안내 작성일 첨부파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2-11-09 첨부파일 KS인증심사 수수료 한시적 감면 안내 FITI시험연구원은 최근 코로나 19와 물가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의 인증 비용 부담을 경감 시키고자 아래와 같이 감면 기간 내에 인증심사를 신청하는 기업에 대해 한시적으로 인증심사 기본 수수료를 20% 감면함을 알려드립니다. - 아 래 - ○ KS인증심사 수수료 한시적 감면 내용 - 감면대상 : 인증심사(신규, 품목추가, 종류 추가 등)를 신청하는 기업 * 동일 기업에 대해 최대 2회까지 감면 - 감면기간 : 2022. 11. 14.(월) ~ 2023. 5. 13.(토), 6개월 간 - 감면비율 : 인증심사 기본수수료의 20% 감면 * 예) 인증심사 기본수수료 50만원인 경우, 40만원으로 10만원(20%) 감면 ※ 자세한 내용은 아래 연락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FITI시험연구원 인증사업팀 02-3299-8224, 8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