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가 제도가 중소기업, 소상공인 다 죽이고 일자리를 없앤다. 먹고 살려고 하는 일 마다, 각종 인증, 허가, 등록, 신고해야 한다. 정말 죽을 노릇이다. 영업허가, 영업등록, 영업신고, 안전, 환경, 보건, 품질, 에너지, 신기술/NeT, 신제품/NeP, 소프트웨어, 서비스/디자인, 단체인증, 조달청등록인증, 이노비즈, 벤처, SQ, KC, 해썹(HACCP), 우수건강기능식품(GMP), GAP, 친환경/유기, 할랄, 비건, 코셔, ISO, FSSC, IATF, 클린사업장, 사회적기업, 유망중소기업 등등 수많은 강제, 법정, 민간, 임의 인증제도 들을 없애거나 최소화하고 선택은 기업이 하도록 하여야 한다. 거기다 원료수불부, 생산일지, 판매대장작성, 품목제조보고, 자가품질검사, 유효성평가실험, 건강진단, 위생교육, 실적보고, 자체평가, 영업자 준수사항 등등 쓸데없는 일 하다 세월 다 간다. 일만 열심히 하면 마음 놓고 사업할 수 있어야 한다.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건강하며 문화생활을 즐기며 행복하게 봉사하며 오래 살 수 있다. 정부/지자체가 규제/간섭하지 말아야 한다.
세종시 조치원 문화정원, 조치원 1927아트센터, 장욱진 생가 등 3곳이 세종시 우수건축자산으로 최초로 등록된다.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는 지난해 12월 진행된 시 건축위원회 심의 결과 이들 3곳을 우수건축자산에 선정·등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우수건축자산은 역사·경관·예술·사회문화적 가치가 있는 건축자산 중 체계적으로 유지·관리할 필요가 있거나 방치될 경우 그 가치가 훼손될 위험이 있을 때 심의를 거쳐 등록·관리된다. 이번에 시에서 우수건축자산으로 등록되는 3곳은 '세종특별자치시 제2차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수립' 용역을 통해 발굴한 것이다. 먼저 제1호 우수건축자산에 등록되는 조치원 문화정원은 1935년 정수장으로 사용되다가 2013년 폐쇄된 시설과 담장으로 분리된 근린공원을 통합해 1만 626㎡ 규모의 문화정원으로 재탄생됐다. 시민들이 전시와 관람·체험 등 문화 활동을 누릴 수 있도록 공간을 재생한 이곳은 역사·경관·사회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받았다. 제2호 조치원 1927아트센터(구 한림제지·지상2층, 1만 427㎡)는 근현대 조치원의 역사를 보여주는 산업시설(공장)이다. 1930년대 공장의 전형적인 형태의 목조 트러스 등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을 간직하고 있다. 제3호 장욱진생가(지상1층, 115.7㎡)는 120년간 잘 보존돼 온 '동심의 화가' 장욱진 화백의 생가다. 1905년에 건립된 전통가옥으로 원형이 잘 보존돼 있으며 근대역사와 예술적 가치가 높고 한국미술 거장 장욱진 화백의 생가(6세까지 거주)로 사회문화적 가치가 높다. 시는 제1∼3호 우수건축자산을 세종시의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등 지역 정체성에 기여하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두희 도시주택국장은 "우수건축자산을 꾸준히 발굴해 우리 시의 건축자산을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도록 할 것"이라며 "우수건축자산에 대한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 (편집자주 : 이 보도자료는 연합뉴스 기사가 아니며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연합뉴스가 원문 그대로 서비스하는 것입니다. 연합뉴스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주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끝)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청 보도자료
-- 2024-25 글로벌 최종 결선 카운트다운 시작 -- 전세계의 재능 있 는 30세 미만 셰프를 가리는 그랜드 파이널, 2025년 10월 28~29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 밀라노 2025년 2월 6일 /PRNewswire=연합뉴스/ -- 산펠레그리노(S.Pellegrino)가 유망하고 재능있는 젊은 셰프를 발굴하는 산펠레그리노 영 셰프 아카데미(S.Pellegrino Young Chef Academy) 2024-25년 경연대회의 최종 결선인 그랜드 피날레가 2025년 10월 28일과 29일 밀라노에서 개최된다고 발표했다. 멀티미디어 보도 자료 보기: https://www.multivu.com/s_pellegrino/9316651-en-countdown-begins-to-crown-worlds-best-young-chef-under-30 지난 몇 달 동안 이번 대회는 전 세계를 무대로 펼쳐졌으며 , 각 지역의 저명한 심사위원들이 평가하는 지역 결선에서 총 164 명의 유망한 젊은 셰프들이 경쟁을 펼쳤다 .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탁월한 기술력 , 창의성 , 그리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요리 철학을 선보였으며 , 그 결과 최종 15 인의 결선 진출자가 선발되었다 . 이들은 앞으로 열릴 그랜드 파이널에서 권위 있는 타이틀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칠 예정이다 . 15 인의 지역 결선 우승자는 세계적으로 명성 높은 요리 거장들로 구성된 국제 심사위원단 앞에서 자신의 시그니처 요리를 선보이게 된다 . 심사위원으로는 크리스토프 바키에(Christophe Bacqui?), 제레미 찬(Jeremy Chan), 안토니아 클루그만(Antonia Klugmann), 미츠하루 '미차' 쯔무라(Mitsuharu 'Micha' Tsumura), 니키 나카야마(Niki Nakayama), 엘레나 레이가다스(Elena Reygadas), 줄리앙 로이어(Julien Royer) 등이 참여한다. 이들은 출전 요리를 기술적 완성도, 창의적인 감각, 그리고 미식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가능성 등의 기준으로 평가할 예정이다 그랜드 파이널은 2년에 걸친 경연대회의 대단원을 장식하는 행사로, 최종 우승자는 산펠레그리노 영 셰프 아카데미 상(S.Pellegrino Young Chef Academy Award) 를 수상하게 된다 . 이 외에도 결선 진출자는 산펠레그리노 사회적 책임상 (S.Pellegrino Social Responsibility Award) , 아쿠아파나 문화의 화합상 (Acqua Panna Connection in Gastronomy Award) , 파인 다이닝 러버스상 (Fine Dining Lovers Food for Thought Award) 을 놓고 경쟁하게 된다 . 2022-23 에디션의 최종 우승자인 넬슨 프라이타스 (Nelson Freitas) 의 스토리는 아카데미가 제공하는 특별한 기회를 잘 보여준다 . 그는 2023 년 월드 50 베스트 레스토랑 어워드에서 1 위를 차지한 ' 센트럴 (Central) ' 의 셰프 비르질리오 마르티네스 (Virgilio Mart?nez) 의 멘토링을 통해 경력을 다졌으며 , 센트럴 팀의 일원으로 합류했다 . 그의 미식 여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 세상 밖에는 더 많은 것이 있다 ? 젊은 셰프의 여정 (Afuera Hay M?s ? A Young Chef's Journey) ' 는 아카데미가 신진 셰프들을 성장시키고 , 미식 산업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 그랜드 파이널은 최고의 미식을 기념하는 축제의 장으로 결선 진출자들은 대회를 앞두고 자신의 멘토들과의 긴밀한 협력 아래 레시피를 발전시키고 , 프레젠테이션을 한층 더 완성도 높게 다듬을 예정이다 . 결선 진출자 15명과 대표 요리는다음과같다. - 가브리엘라 사르미엔토 (Gabriela Sarmiento):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지역 대표 , ' 라 말케리다 (La Malquerida)' - 벤 밀러(Ben Miller): 영국 지역 결선 우승자 , ' 샘 이에게 바치는 송가(Ode to Sam Yee)' - 가렛 브라우어(Garrett Brower): 미국 지역 결선 우승자 , ' 체서피크만 굴로 채운 메추라기(Quail Stuffed with Chesapeake Oysters)' - 안토니스 아부리(Antonis Avouri): 프랑스 대표 , ' 우리가 한 행동의 결과(The Consequences of Our Actions)' - 최경호: 태평양 지역 결선 우승자 , ' 베이컨과 양배추 또는 돼지고기와 김치(Bacon and Cabbage or Pork and Kimchi)' - 빅토리아 린스마(Victoria Rinsma): 캐나다 대표 , ' 바다 건너 다시 고향으로(Across the Sea and Home Again)' - 야민 리우(Ya Min Liu): 중국 본토 결선 우승자 , ' 층층이 쌓인 맛의 교향곡(Symphony of Layered Flavours)' - 아디 퍼거슨(Ardy Ferguson): 아시아 지역 대표 , ' 아키펠라고 셀레브레이션 ( Archipelago Celebration)' - 노아 윈안츠(Noah Wynants): 북유럽 지역 대표 , ' 더치 렌당(Dutch Rendang)' - 호세 마리아 보라스(Jos? Mar?a Borr?s): 이베리아 지역 대표, '랑고스토 이 코치닐로 발레아르(Langosto y Cochinillo Balear)' - 에밀리아 몬츠(Emilia Montz): 중부 유럽 대표 , ' 러시아 발레('Russian Ballet)' - 럭슨 마레(Luckson Mare): 중동 및 남아시아 지역 우승자 , ' 오리, 고구마, 마퉁구루(Duck, Sweet Potato, Matungulu)' - 테오 콥(Theo Kopp): 서유럽 대표, '로렌식 포테(Pot?e Lorraine)' - 파블로 도나디오 팔콘(Pablo Donad?o Falc?n): 동남유럽 및 지중해 대표 , ' 산으로 가는 하이쿠(Haiku to the Mountain)' - 에두아르도 티자니니(Edoardo Tizzanini): 이탈리아 대표 , ' 아티초크 하트(An Artichoke Heart)' 결선 진출자와 산펠레그리노 영 셰프 아카데미 경연대회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 ( www.sanpellegrinoyoungchefacademy.com )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산 펠레그리노 영 셰프 아카데미(S.Pellegrino Young Chef Academy) 소개 산펠레그리노 영 셰프 아카데미는 미식의 한계를 넘어서 사회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더욱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젊은 셰프들을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 산펠레그리노가 출범한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산펠레그리노는 차세대 요리 인재의 유치와 연결, 육성을 위한 교육과 멘토링 및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유명한 글로벌 경연대회를 통해 젊은 셰프들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아카데미는 재능 있는 인재가 지역이나 민족 또는 성별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70개국 이상의 회원들에게 문호를 개방하고 있다. 또한 열정적인 젊은 셰프들이 세계 미식계의 저명한 인사들과 교류할 수 있는 요리 커뮤니티를 육성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산펠레그리노와 아쿠아파나 소개 산펠레그리노(S.Pellegrino), 아쿠아 파나 (Acqua Panna) 및 산펠레그리노 이탈리안 탄산음료는 이탈리아 밀라노에 본사를 둔 산펠레그리노 (Sanpellegrino S.p.A.) 의 국제 상표다 . 5 개 대륙의 지사 및 유통 업체를 통해 150 개국 이상에 유통되고 있는 산펠레그리노의 제품들은 이탈리아 제품의 최상의 품질을 대표하고 , 유쾌함과 건강, 웰빙의 통합으로 이탤리언 스타일을 완벽하게 선보이는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1899 년에 설립된 산펠레그리노 (Sanpellegrino S.p.A ) 는 다양한 미네랄워터 , 무알코올 식전주 및 음료를 제공하는 이탈리아 음료 부문의 대표적인 기업이다 . 산펠레그리노는 환경을 지키기 위한 책임 의식을 잊지 않으며, 수자원의 안전한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 책임감 있고 열정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 출처: Sanpellegrino Group [※ 편집자 주 = 이 보도자료는 자료 제공사에서 제공한 것으로, 연합뉴스는 내용에 대해 어떠한 편집도 하지 않았으며,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밝혀 드립니다.] (끝)
생성형 인공지능(AI), 금융·재테크, 마음 건강, 은퇴 설계, 취미생활 등 다양한 분야의 강좌 405개가 오는 12일까지 차례로 경기도평생학습포털 지식(GSEEK)에 개설된다. 신규 강좌를 포함한 전체 강좌 수는 13개 분야 총 1천8백여 개다. 도는 도민의 학습 수요와 최신 트렌드, 이슈를 반영해 신규 강좌를 구성했다. 온라인 강사진은 김미경 강사, 김경일 심리학자, 김상욱 물리학자, 홍춘욱 경제전문가, 정재승 물리학자, 윤대현 정신건강의, 김헌 인문학자 등 분야별 명사로 꾸렸다. 주요 강의로는 ▲디지털 역량강화(챗 GPT 혁명, AI 시대에서 살아남는 질문력) ▲생활 취미(시니어 근력운동, 웹소설 쓰기) ▲인문·교양(머니 트레이닝, 번아웃 벗어나기, 현대 건축 여행) ▲직무 역량 개발(대화의 기술, 퇴사 준비는 40대부터) 등이 있다. 이 밖에도 '가까운 사람의 우울증 어떻게 대해야 할까?', '치매 노인 가족을 위한 돌봄교육', '경계선 지능인 가족을 위한 교육' 등 돌봄 환경 관련 강좌가 새롭게 개설됐다. 자격증 취득, 외국어, IT 등 200여 개 강좌는 최신 정보로 내용을 교체하거나 이용자 수요에 따라 확대·재구성됐다. 홍성덕 경기도 평생교육과장은 "도민의 다양한 학습 욕구를 충족시키고,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고자 강좌를 개편했다"면서 "앞으로도 평생학습 강좌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기도민이라면 누구나 경기도평생학습포털 지식 누리집(gseek.kr)에 접속해 온라인강좌와 실시간 화상강좌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관련 문의는 지식 누리집 내 고객센터 게시판 또는 전화(1600-0999)를 통해 가능하다. (편집자주 : 이 보도자료는 연합뉴스 기사가 아니며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연합뉴스가 원문 그대로 서비스하는 것입니다. 연합뉴스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주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끝) 출처 : 경기도청 보도자료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생산실적보고 제56조(생산실적 등의 보고) ① 법 제42조제2항에 따른 식품 및 식품첨가물의 생산실적 등에 관한 보고(전자문서를 포함한다)는 별지 제50호서식에 따라 하되, 다음 해 2월 말일까지 해야 한다. ② 영업자가 제1항에 따른 보고를 할 때에는 등록관청을 거쳐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또는 시ㆍ도지사(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를 제외한다)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보고자,업체명(상호),대표자,소재지,연락처 영업의 종류,영업허가(신고)번호 영업허가(신고)연월일 영업허가(신고)관청명 종업원수,계,사무직,기술직,노무직,기 타 식품제조 품목별 생산실적 제품명, 식품의유형 비살균, ㆍ살균, ㆍ멸균 제품 여부 연간생산능력(Kg, ℓ) 생산량(Kg, ℓ) 생산액(천원) 국내 판매국외 판매비고 「식품위생법」 제42조제2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56조에 따라 식품ㆍ식품첨가물 생산실적을 보고합니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우수천일염인증 목적 고품질 천일염의 생산을 촉진하고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우수한 품질의 국산 천일염에 대하여 인증 제도를 실시 법적근거 소금산업 진흥법 제39조(우수천일염인증) 표시방법 인증기준 우수천일염의 생산기준(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고시 제2019-1호) 1. 바닷물, 갯벌, 시설, 기구 및 자재 등에 관한 사항 2. 염전·작업장 및 주변 환경에 관한 사항 3. 생산·관리 및 품질관리에 관한 사항 4. 사회적 책임성에 관한 사항 우수천일염의 생산기준 인증신청 문의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문의번호 : 061-240-0973 처리절차
양천구(구청장 이기재)는 경기침체 장기화로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안정적인 자금 운용을 위해 연 40억 원 규모의 '중소기업 육성기금'을 지원하기로 하고, 이달 14일까지 신청을 받는다고 6일 밝혔다. 올해 양천구의 중소기업 육성기금 규모는 총 40억 원으로, 제조업은 최대 3억 원, 도·소매업과 기타 업종은 최대 8천만 원까지 융자를 지원받을 수 있다. 상환은 2년 거치 3년 균등분할 조건이며, 특히 대출 금리를 서울시 자치구 중 가장 낮은 수준인 0.8%로 올해 말까지 한시적 적용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재정부담을 낮출 계획이다. 지원 대상은 양천구에 사업장을 두고 공고일(2월 3일) 기준 사업자등록 후 6개월 경과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다. 단, 무점포 소매업, 담배 도·소매업, 음식점업, 부동산업, 금융업 등 일부 업종과 공고일 기준 기 수혜업체(상환 중이거나 상환 후 1년 미경과)는 신청 대상에서 제외된다. 지원을 희망하는 업체는 이달 14일까지 ▲융자신청서 ▲사업계획서 ▲사업자등록증 ▲국세 및 지방세 납입 증명서 ▲매출액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서류 등을 구비해 구청 일자리경제과 사무실로 방문 제출하면 된다. 기금운용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선정된 업체는 3월 말부터 우리은행 양천구청지점을 통해 대출받을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구청 홈페이지 고시공고 게시판을 참고하면 된다. 한편, 양천구 중소기업 육성기금은 지난 1993년 구 출연금 10억 원으로 처음 조성된 이래, 지난해까지 1,131개 업체에 750억여 원을 지원하며 지역 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영난 해소에 기여해 온 바 있다. 이기재 양천구청장은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는 지역 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 이번 지원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역경제 회복과 성장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발굴·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편집자주 : 이 보도자료는 연합뉴스 기사가 아니며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연합뉴스가 원문 그대로 서비스하는 것입니다. 연합뉴스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주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끝) 출처 : 양천구청 보도자료
금천구(구청장 유성훈)는 지난 2월 6일 저소득 취약계층 12,900세대에 난방비 10만 원을 특별 지원했다고 밝혔다. 구는 올해 한파와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을 돕기 위해 난방비를 지원한다.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차상위계층, 서울형기초, 법정 한부모가족 등에게 가구당 10만 원의 난방비를 지급했다.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자격 요건을 갖춘 대상 가구에 자동으로 난방비가 지원됐다. 단, 계좌미등록자, 압류방지통장 사용자 및 기타 사유로 통장 개설이 어려운 가구는 예외적으로 현금으로 난방비를 지급한다. 관할 동주민센터에서 별도로 안내할 예정이다. 유성훈 금천구청장은 "난방비 지원이 취약계층 주민들의 한파와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며, "주민들이 겨울을 따뜻하게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구는 2023년부터 취약계층 가구에 난방비와 냉방비를 지원해왔다. 지난 1월에는 기초생활보장수급자 8,800가구에 가구당 5만 원의 명절위문금을 지급하고, 차상위계층 3,500가구에 가구당 5만 원의 온누리상품권을 월동대책비로 지원한 바 있다. 자세한 사항은 금천구청 복지지원과(2627-1404)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편집자주 : 이 보도자료는 연합뉴스 기사가 아니며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연합뉴스가 원문 그대로 서비스하는 것입니다. 연합뉴스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주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끝) 출처 : 금천구청 보도자료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초기 창업 소상공인에게 창업 아이템의 시장검증 기회를 제공하고 사업 초기 운영자금을 지원해 안정적인 시장 진입과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소상공인 창업 크라우드 펀딩 지원사업'에 참여할 업체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모집 기간은 2월 7일부터 3월 4일까지로, 인천 소재 창업 7년 이내 소상공인 중 온라인 판매 가능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보유한 업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크라우드 펀딩은 '대중(Crowd)이 만드는 기금(Funding)'을 뜻하는 말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나 제품을 보유한 기업이 펀딩 플랫폼을 통해 대중에게 상품을 소개하고 자금을 모으는 활동을 의미한다. 지난해 이 사업에 참여한 10개 업체는 총 1,261명의 후원을 받아 5,300만 원의 펀딩금액을 달성했으며, 펀딩 리워드 개선 후에는 국내 오픈마켓 입점 및 판매 등 온라인 판로 확대에 큰 성과를 거뒀다. 이번 지원사업은 소상공인들에게 시장 수요를 직접 경험하고 소비자 반응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며 브랜드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올해는 총 13개 업체를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업체로 선정되면 펀딩 상세페이지 제작, 제품 홍보 동영상 제작, 펀딩 광고 및 마케팅 비용 등을 업체당 최대 5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김진태 시 경제산업본부장은 "급변하는 시장환경 변화에 맞춰 창업 초기 시장진출 과정에서 핵심 전략을 수립하고 대응하지 않으면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창업 초기의 안정적인 자금 및 다양한 판로 확보로 소상공인의 경영안정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신청 관련 자세한 사항은 인천소상공인종합지원센터 누리집(www.insupport.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편집자주 : 이 보도자료는 연합뉴스 기사가 아니며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연합뉴스가 원문 그대로 서비스하는 것입니다. 연합뉴스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주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끝) 출처 : 인천광역시청 보도자료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해썹인증제도의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식품 및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 즉 해썹이란 식품 및 축산물 안전관리인증 기준으로서, 식품,건강기능식품, 축산물의 원료 관리, 제조․가공․조리․ 선별․처리․포장․ 소분․보관․유통․판매의 모든 과정에서 위해한 물질이 식품 또는 축산물에 섞이거나 식품 또는 축산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과정의 위해요소를 확인․평가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기준을 말합니다 2. “위해요소”란 인체의 건강을 해할 우려가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또는 물리적 인자나 조건을 말합니다. 3. “위해요소분석”이란 식품·축산물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해요소와 이를 유발할 수 있는 조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4. “중요관리점, 즉 CCP”란 안전관리인증기준을 적용하여 식품·축산물의 위해요소를 예방·제어하거나 허용 수준 이하로 감소시켜 당해 식품·축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단계․과정 또는 공정을 말합니다. 5. “한계기준”이란 중요관리점에서의 위해요소 관리가 허용범위 이내로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나 기준치를 말합니다. 6. “모니터링”이란 중요관리점에 설정된 한계기준을 적절히 관리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일련의 계획된 관찰이나 측정하는 행위 등을 말합니다. 7. “개선조치”란 모니터링 결과 중요관리점의 한계기준을 이탈할 경우에 취하는 일련의 조치를 말합니다. 8. “선행요건”이란 안전관리인증기준을 적용하기 위한 위생관리프로그램을 말합니다. 9. “안전관리인증기준 관리계획, 즉 해썹플랜”이란 위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요소를 사전에 확인하여 허용 수준 이하로 감소시키거나 제어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작성한 제조․가공․조리․ 선별․처리․포장․소분․ 보관․유통․판매 공정 관리문서나 도표 또는 계획을 말합니다. 10. “검증”이란 안전관리인증기준관리계획의 유효성과 실행 여부를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합니다. ------------------------------ 11. “안전관리인증기준 적용업소”란 안전관리인증기준을 적용․준수하고 있는 작업장·업소·농장 또는 통합인증업체 등을 말합니다. 12. “관리책임자”란 안전관리인증기준 운영 및 관리를 총괄적으로 책임지고 운영하도록 지정한 자, 영업자․농업인을 말합니다. 13. “통합관리프로그램”이란 축산물안전관리통합인증업체에 참여하는 통합적인 위생관리프로그램을 말합니다. 14. “중요관리점 모니터링 자동 기록관리 시스템”이란 중요관리점 모니터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자동 기록·관리 및 확인·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하며, 이 시스템을 적용한 안전관리인증기준을 “스마트해썹”이라 합니다. 더 이상 자세한 정보나 도움이 필요하면 미래인증교육컨설팅 대표이사이며 식약처 지정 해썹 전문강사인 유영준박사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010-5216-2577 수고하셨습니다
미래인증건강신문 유영준 기자 | 식품제조·가공업의 시설기준 가. 식품의 제조시설과 원료 및 제품의 보관시설 등이 설비된 건축물(이하 "건물"이라 한다)의 위치 등 1) 건물의 위치는 축산폐수·화학물질, 그 밖에 오염물질의 발생시설로부터 식품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아니하는 거리를 두어야 한다. 2) 건물의 구조는 제조하려는 식품의 특성에 따라 적정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고, 환기가 잘 될 수 있어야 한다. 3) 건물의 자재는 식품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아니하고 식품을 오염시키지 아니하는 것이어야 한다. 나. 작업장 1) 작업장은 독립된 건물이거나 식품제조·가공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시설과 분리되어야 한다. 2) 작업장은 원료처리실·제조가공실·포장실 및 그 밖에 식품의 제조·가공에 필요한 작업실을 말하며, 각각의 시설은 분리 또는 구획되어야 한다. 다만, 제조공정의 자동화 또는 시설·제품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분리 또는 구획할 필요가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로서 각각의 시설이 서로 구분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작업장의 바닥·내벽 및 천장 등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설비되어야 한다. 가) 바닥은 콘크리트 등으로 내수처리를 하여야 하며, 배수가 잘 되도록 하여야 한다. 나) 내벽은 바닥으로부터 1.5미터까지 밝은 색의 내수성으로 설비하거나 세균방지용 페인트로 도색하여야 한다. 다만, 물을 사용하지 않고 위생상 위해발생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다) 작업장의 내부 구조물, 벽, 바닥, 천장, 출입문, 창문 등은 내구성, 내부식성 등을 가지고, 세척ㆍ소독이 용이하여야 한다 4) 작업장 안에서 발생하는 악취·유해가스·매연·증기 등을 환기시키기에 충분한 환기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5) 작업장은 외부의 오염물질이나 해충, 설치류,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6) 작업장은 폐기물ㆍ폐수 처리시설과 격리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 식품취급시설 등 1) 식품을 제조·가공하는데 필요한 기계·기구류 등 식품취급시설은 식품의 특성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고시하는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에서 정하고 있는 제조·가공기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 식품취급시설 중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위생적인 내수성재질로서 씻기 쉬운 것이거나 위생적인 목재로서 씻는 것이 가능한 것이어야 하며, 열탕·증기·살균제 등으로 소독·살균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3) 냉동·냉장시설 및 가열처리시설에는 온도계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계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라. 급수시설 1) 수돗물이나 먹는 물의 수질기준에 적합한 지하수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2) 지하수 등을 사용하는 경우 취수원은 화장실·폐기물처리시설·동물사육장, 그 밖에 지하수가 오염될 우려가 있는 장소로부터 영향을 받지 아니하는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3) 먹기에 적합하지 않은 용수는 교차 또는 합류되지 않아야 한다. 마. 화장실 1) 작업장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곳에 정화조를 갖춘 수세식화장실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인근에 사용하기 편리한 화장실이 있는 경우에는 화장실을 따로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2) 화장실은 콘크리트 등으로 내수처리를 하여야 하고, 바닥과 내벽(바닥으로부터 1.5미터까지)에는 타일을 붙이거나 방수페인트로 색칠하여야 한다. 바. 창고 등의 시설 1) 원료와 제품을 위생적으로 보관ㆍ관리할 수 있는 창고를 갖춰야 한다. 다만,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창고를 갖추지 않을 수 있다. 가) 창고에 갈음할 수 있는 냉동ㆍ냉장시설을 따로 갖춘 경우 나) 같은 영업자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영업을 하면서 해당 영업소의 창고 등 시설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 (1) 식품첨가물제조업 (2) 의약품제조업 또는 의약외품제조업 (3) 축산물가공업 (4) 건강기능식품전문제조업 2) 창고의 바닥에는 양탄자를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사. 검사실 1)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실을 갖추어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를 갖추지 아니할 수 있다. 가) 자가품질위탁 시험ㆍ검사기관 등에 위탁하여 자가품질검사를 하려는 경우 나) 같은 영업자가 다른 장소에 영업신고한 같은 업종의 영업소에 검사실을 갖추고 자가품질검사를 하려는 경우 다) 같은 영업자가 설립한 식품 관련 연구·검사기관에서 자가품질검사를 하려는 경우 라) 기업집단에 속하는 식품관련 연구·검사기관 또는 계열회사가 영업신고한 같은 업종의 영업소의 검사실에서 자가품질검사를 하려는 경우 마) 같은 영업자, 동일한 기업집단에 속하는 식품관련 연구ㆍ검사기관 또는 영업자의 계열회사가 영 제21조제3호에 따른 식품첨가물제조업, 축산물가공업, 「건강기능식품전문제조업, 의약품ㆍ의약외품의 제조업, 화장품제조업, 위생용품제조업을 하면서 해당 영업소에 검사실 또는 시험실을 갖추고 자가품질검사를 하려는 경우 2) 검사실을 갖추는 경우에는 자가품질검사에 필요한 기계·기구 및 시약류를 갖추어야 한다. 아. 운반시설 식품을 운반하기 위한 차량, 운반도구 및 용기를 갖춘 경우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하며 내수성ㆍ내부식성을 갖추어야 한다. 자. 시설기준 적용의 특례- 생략